티스토리 뷰
올 한 해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기후변화로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기후 변화로 인한 태풍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 정부에서는 태풍피해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데 피해 상황 사진 한 장만 준비하시면 온라인상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재난 종료 후 10일까지라도 신청 가능합니다. 태풍피해 지원금 신청방법과 지원금 지급 안내를 확인하시고 아울러 태풍의 경로까지 잘 주시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길 바라겠습니다.
목차
태풍피해 지원금 신청방법 경로 안내
태풍 때문에 피해 상황이 발생되었다면 사진을 한 장이라도 확보한 후 아래의 경로를 따라 온라인으로 신청해 주십시오.
1.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에서 상단 오른쪽 '참여와 신고'를 클릭합니다.
2. '참여와 신고' 아래쪽에 '사유재산피해신고'를 클릭합니다.
3. '사유재산피해신고'에서 '자연재난선택'에 체크를 합니다.
4. '개인정보 수집, 이용 등에 대한 동의'에 동의 체크를 하고 맨 아래 '신규등록'을 클릭하고 신청하시면 됩니다.
태풍피해 지원금 지급안내
1. 주택 피해 관련 지원 기준
- 주 생계수단인지를 확인한 후 농경지등에 침수 피해를 입었다면 지원 가능
- 외국인이라도 신청할 수 있음
- 피해자 본인이 아니라도 이웃이나 친척이 대리로 신고 가능
- 피해 보상금이라기보다는 주거 안정을 위한 지원금임
2. 지원 금액
- 주택침수 : 100만 원(일괄)
- 주택유실, 전파, 반파 : 피해 복구액의 30% 지원(공사금액)
- 농경지나 농림시설 피해 : 피해면적, 농작물 종류 등에 따라 차등지원
3. 지급절차
- 피해신고서 접수 및 현장 확인 : 동 주민센터, 경제에너지과
- 재난지원금 지급대상 확정 및 지급 : 안전총괄과
※ 태풍의 실시간 경로는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태풍 발생 시 행동요령
- 대피를 해야 할 경우에는 먼저 수도나 가스, 전기등을 차단합니다.
- 가족등 사이에 비상으로 연락할 수 있는 방법과 대피 방법에 대해 미리 의논하고 확인합니다.
- 하천 근처 주차된 차량이 있다면 미리 안전한 곳으로 옮겨 주차합니다.
- 출입문과 창문을 꼭 닫고 창틀에 수건이나 신문을 말아서 고정합니다.
- 공사장, 가로등, 신호등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는 지역에는 접근을 하지 않습니다.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등은 단단히 고정합니다.
- 외출을 자제합니다.
- 라이오, TV, 휴대폰을 통해 기상 예보 및 태풍의 실시간 상황 수시로 확인합니다.